1분내 99.7% 바이러스 사멸 가능한 항바이러스 필터 사용 중…자하케미칼 개발
자하케미칼(대표이사 하상욱)은 항바이러스 기능을 탑재한 HVAC 공조용 필터 개발에 성공, 양산에 돌입했다고 최근 밝혔다.
자하케미칼이 본격 양산에 돌입한 필터는 바이러스를 가둬두기만 했던 기존 필터와 달리 포집된 바이러스를 1분 이내 99.7% 초고속 사멸시킬 수 있는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정부 판매승인을 완료한 제품이다.
병원, 학교, 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항바이러스 필터를 적용하면 HEPA 필터에 포집된 바이러스와 세균의 생존과 증식까지 차단할 수 있어 효과적인 방역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해당 필터는 건국대 김영봉 교수(현 대한바이러스학회 회장) 연구팀이 자하케미칼과 함께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된 제품이다. 국제적으로 사용이 승인된 인체 무해한 바이오 세라믹 원료가 사용됐다.
특히 해당 필터는 질병관리청 인가 기관인 BSL3급 바이러스 시험연구소에서 ISO 국제표준규격의 시험과 실제 에어로졸 테스트에서 1분 내 99.99% 효율을 입증한 바 있다. 또, 국내 방역기업과 협업으로 환경부 국책과제를 통한 6개월간 필드테스트를 수행, 신뢰성을 입증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순천향대 서울병원의 경우 지난달 30일 대학병원 최초로 음압병동 공조시설에 이 항바이러스 필터를 설치, 운영 중이다.
병원 관계자는 “일반 필터에서 항바이러스 기능이 적용된 이 필터로 교체하게 되면서 환자와 교직원의 건강을 보다 안전하게 챙기게 됐다”고 전했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조현 교수는 “병원과 같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도 있어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하다”며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필터가 병원에 설치되면서 원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 셈”이라고 반겼다.
김영봉 대한바이러스학회장은 “HEPA 필터에 포집된 바이러스는 최장 한 달까지도 생존할 수 있다”고 밝히고 “바이러스가 HEPA 필터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거나 포집됐다가 이탈하기도 해 HEPA 필터의 성능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자하케미칼은 지난 2020년 접촉 1분 이내에 바이러스를 99.9% 초고속 사멸하는 항바이러스 필름을 개발해 국내외 다수의 기업과 정부기관에 납품했던 경쟁력 있는 K 방역 솔루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이 항바이러스 필터는 가정용 공기청정기, 에어컨 필터 뿐 아니라 다중이용시설의 공조용 필터로 채택돼 학교, 요양원, 영화관, 군사시설 등에 확대 설치되고 있다.
문영중 기자
<기사원문보기>
1분내 99.7% 바이러스 사멸 가능한 항바이러스 필터 사용 중…자하케미칼 개발
자하케미칼(대표이사 하상욱)은 항바이러스 기능을 탑재한 HVAC 공조용 필터 개발에 성공, 양산에 돌입했다고 최근 밝혔다.
자하케미칼이 본격 양산에 돌입한 필터는 바이러스를 가둬두기만 했던 기존 필터와 달리 포집된 바이러스를 1분 이내 99.7% 초고속 사멸시킬 수 있는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정부 판매승인을 완료한 제품이다.
병원, 학교, 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항바이러스 필터를 적용하면 HEPA 필터에 포집된 바이러스와 세균의 생존과 증식까지 차단할 수 있어 효과적인 방역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해당 필터는 건국대 김영봉 교수(현 대한바이러스학회 회장) 연구팀이 자하케미칼과 함께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된 제품이다. 국제적으로 사용이 승인된 인체 무해한 바이오 세라믹 원료가 사용됐다.
특히 해당 필터는 질병관리청 인가 기관인 BSL3급 바이러스 시험연구소에서 ISO 국제표준규격의 시험과 실제 에어로졸 테스트에서 1분 내 99.99% 효율을 입증한 바 있다. 또, 국내 방역기업과 협업으로 환경부 국책과제를 통한 6개월간 필드테스트를 수행, 신뢰성을 입증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순천향대 서울병원의 경우 지난달 30일 대학병원 최초로 음압병동 공조시설에 이 항바이러스 필터를 설치, 운영 중이다.
병원 관계자는 “일반 필터에서 항바이러스 기능이 적용된 이 필터로 교체하게 되면서 환자와 교직원의 건강을 보다 안전하게 챙기게 됐다”고 전했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조현 교수는 “병원과 같은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도 있어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하다”며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필터가 병원에 설치되면서 원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 셈”이라고 반겼다.
김영봉 대한바이러스학회장은 “HEPA 필터에 포집된 바이러스는 최장 한 달까지도 생존할 수 있다”고 밝히고 “바이러스가 HEPA 필터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거나 포집됐다가 이탈하기도 해 HEPA 필터의 성능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자하케미칼은 지난 2020년 접촉 1분 이내에 바이러스를 99.9% 초고속 사멸하는 항바이러스 필름을 개발해 국내외 다수의 기업과 정부기관에 납품했던 경쟁력 있는 K 방역 솔루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이 항바이러스 필터는 가정용 공기청정기, 에어컨 필터 뿐 아니라 다중이용시설의 공조용 필터로 채택돼 학교, 요양원, 영화관, 군사시설 등에 확대 설치되고 있다.
문영중 기자
<기사원문보기>